설, 추석 차례 진행 순서
집안밖을 청소하고 목욕재계하여 차례를 위한 마음의 준비하며 제구를 깨끗이 닦아 준비한다.
주부 이하 모든 가족 구성원이 제수를 준비한다.
명절날아침 제복을 입고, 제상 앞에 남자들은 오른편(東)에 여자들은 왼편(西)에, 제주와 주부는 앞에 대체로 연장자 순서대로 선다.
차례는 명절에 지낸다.
차례는 낮에 지낸다.
차례는 자기가 기제를 받드는 모든 조상에게 지낸다.
1. 신위봉안 : 지방
고조부모 이하 부모까지 (물론2대조,3대조등 가정에 따라 다름)
순서대로 지방을 모신다.차례는 촛불을 켜지 않는다.
2. 강신 :조상신을 오시기를 청하는 절차
향을 피운다.
참석자 모두 제사상앞에 선다.
①제주에게 약간의 술을 (20%정도) 따르고 술잔을 헹군다는 기분으로 .
②술잔마다 향불위에 시계반대 방향으로 3번 돌리고 난후에 퇴주잔에 붓고 빈잔을집사가 받아서 제상에 올린다.
ex) 신위가 6 분일 경우6 잔을 반복해서 한다. 한 걸음 뒤로 물러나 제주 혼자서 2회 절을 하고 1회 반절한다.
3. 참신 : 조상신에 대한 인사
제사 참가자가 모두 합동으로 인사한다.
남자는 두 번 여자는 4번 절을 한다.
차례는 축문을 읽지 않는다.
4. 진찬(進饌 : 메, 국 올리기) :
웃대조상의 신위부터 차례로 모신다.차례는 설에 떡국을, 한가위에는 송편을 올린다.
5. 헌작(獻酌:잔올리기)
제주가 윗대조상부터 아래조상까지 차례로 술을 가득 올린다.
설때는 윗대조상부터 아래 조상까지 차례로 숟가락을 떡국에 걸치고 젓가락을 골라 시접에 걸쳐 놓는다.
(제주,제주부인이 같이 두 번 절한다.)
추석때는 밥그릇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밥그릇 중앙에 세 번 꼽아서 숟가락이 바닥안쪽이 동쪽으로 가게한다.
(신위쪽으로)손잡이가 서쪽으로 가게한다.(신위쪽에서 좌측으로 가게한다.
차례는 술을 한번만 올린다.
차례는 숭늉은 올리지 않는다.
6. 유식 (侑食:식사 권유)
참사들이 모두 무릎을 끓고 7~8분간 조용히 앉아있거나밖에 나가 있은다.차례는 합문과 계문을 하지 않는다.차례는 첨작을 하지 않는다
7. 철시복반(撤匙覆飯:수저 걷기)
숟가락을 거두어 세 번 고른다음 제자리에 놓는다.
메 그릇의 뚜껑을 닫는다.
8. 사신(辭神:합동배례)
술을 올리지 않고 신위를 전송하는 절차다.
제사 참사자 모두 합동으로 두 번 절 한다.
9. 신주 들여모시기
지방을 사용한 경우에는 태워서 재를 향로에 담는다.
10. 철상(撤床:제상 정리)
제사음식을 제사상에서 내려 정리하고 제구와 제기를 정리한후 보관한다.
11. 음복(飮福:음식나누기):
참사자 전원이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음복을 하면 조상들의 복을 받는다는 속신(俗信)이 있다.
※기제사와 차례의 차이점
기제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에 지내고 차례는 명절에 지낸다.
기제는 밤에 지내고 차례는 낮에 지낸다.
기제는 그날 돌아가신 조상과 배우자만 지내고, 차례는 자기가 기제를 받드는 모든 조상에게 지낸다.
기제는 메와 갱을 올리나 차례는 설에 떡국을, 한가위에는 송편을 올린다.
기제는 술을 세 번 올리지만 설날 차례는 한번만 올린다.
기제는 첨작을 하지만 차례는 하지 않는다.
기제는 합문과 계문을 하지만 차례는 하지 않는다.
기제는 숭늉을 올리지만 차례는 하지 않는다.
기제는 반드시 축문을 읽지만 차례는 읽지 않는다.
기제는 촛불을 켜지만 차례는 켜지 않는다.
절은 왼손을 오른손위에 얹고 절한다.
* 첨작 : 기제에서 종헌때 잔에 7부 따른후 더드시라고 추가로 떠 잔을 채우는 것.
합문 : 유식후 조상신들이 음식드시라고 문을 닫고 나가는 것.
계문 : 합문 반대 뜻.
'정보 Tips > 기타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못한 공무원 신고하는 방법 (2) | 2023.01.11 |
---|---|
명문 양반 종가 제사상 (0) | 2022.09.14 |
성균관 권장 차례상 표준 (0) | 2022.09.06 |
정신과 의사가 말하는 자존감 높이는 방법 (0) | 2022.07.27 |
동의 없이 견인 후 돈 내라는 사설 렉카 (0) | 2022.07.19 |
삼성 비스포크 ODM 문제 (0) | 2022.07.15 |
예비군 6년차까지 끝난 후기 (0) | 2022.07.09 |
중고차팔이들이 침수차 대신 쓰는 표현 (0) | 2022.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