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15

아름답다

예쁘다

신기하다
새끼 벌새의 울음소리

 

개요

 

생물 역사상 가장 작은 수각류. 칼새목 벌새과의 조류. 몸길이는 6.5∼21.5 cm 등으로 다양하다.[1] 부리 모양이 다양하고 다리와 목이 짧다. 나는 힘이 강하여 고속으로 날고 공중에 정지한 상태로 꿀을 빨아 먹으며 곤충, 거미 따위도 먹는다. 아메리카 특산으로 주로 열대 지방에 많고 붉은목벌새 등 320여 종이 전 세계에 분포한다. 꿀새라고도 한다.

이름의 유래는 당연히 벌+새. 일본어 명칭도 하치도리(ハチドリ)이다.[2] 영어 단어인 Hummingbird는 날개짓이 빠르다 못해 휘파람 소리마냥 들린다고 붙은 이름이다.

 

상세

 

이름답게 날개짓 하는 속도가 장난이 아니다. 빠른 녀석은 초당 55회도 친다. 날고 있는 때 소리를 들으면 다른 새처럼 '퍼덕퍼덕'이나 '후두둑' 같은 소리가 아니라 정말 벌처럼 '부우우웅~'소리가 난다.

짧은 다리에 발가락은 약한 대신 나는 것 하나만은 수준급. 벌새의 날개는 특이하게도 어깨 관절을 축으로 어느 정도 회전이 된다. 목이 짧은 대신 부리가 길어서 주로 공중에 체공하며 꿀을 먹는데, 이게 가능한 것도 저 특이한 날개 구조 때문. 헬리콥터처럼 전진, 후진, 호버링(공중 체공)이 전부 가능한 유일무이한 새이며, 날개 양쪽을 다른 속도로 움직일 수도 있다.

 

비행물체를 만드는 모든 인간의 꿈에 부합하는 새이다. 벌새의 모든 테크닉을 비행물체로 구현하는 순간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고 할 정도로 벌새의 비행기술은 항공역사상 불가침의 영역으로 손꼽힌다. 그 영역에 가장 근접한 것이 바로 멀티콥터이다. 하지만 멀티콥터도 날개 방향을 실시간으로 회전하거나 몸통 자체를 꺾을 수 없는데, 현존하는 기술로는 벌새의 어깨관절을 완벽히 구현하기는 아직 불가능하다. 하늘을 잘 나는 생물이라고 하면 잠자리 역시 빼놓을 수 없지만, 사실 잠자리의 경우는 구조적 결함과 모순이 많다. 엄청난 양의 중력가속도를 견뎌야 한다든지, 날개끼리 부딪혀서 소리가 날 정도라든지. 대다의 결점들이 '곤충이기에' 커버 가능한 것이다.

제한 없는 초월적 자유 비행이나, 작고도 빠른 날갯짓의 이상을 비유할 때 흔히 벌새를 찾는 이유가 바로 여기서 비롯된다. 보기도 힘들지만 존재감과, 현대 기술로도 구현이 불가능한 구조와 신체능력으로 구사하는 자유로운 비행기술 하나만큼은 엄청난 새이기 때문.

 

깃털 색깔도 다양하지만 녹색·갈색·검정색이 주를 이룬다. 머리 꼭대기에 장식깃이 있는 녀석도 있어서 인기는 많다. 대신 성질은 공격적 이라서 주로 단독 생활을 하며 물가에서 목욕을 즐긴다.

활동량이 많은데다 초당 수십 회씩 날개짓하는 것만으로도 에너지 소모량이 다른 새의 몇배는 된다. 자동차로 비유하면 포뮬러 1 레이스 카 수준. 2시간 동안 마라톤을 한다고 치면 인간은 2600칼로리가 소모되지만 벌새는 총 1만 4천 칼로리를 소모할 정도로 체구에 비해 연비가 매우 낮다.

 

그 초월적인 에너지 소모량을 감당하기 위하여 주로 고열량의 곤충이나 꿀을 먹는다. 그것도 모자라기 때문에 10분마다 계속해서 꿀을 마셔야 한다. 그래서 매일 과즙을 자기 체중보다 더 많이 먹는데, 사람으로 치면 하루에 햄버거 90 kg를 먹는 수준이라고 한다.

 

자는 것만으로도 에너지 부족으로 죽을 수 있어서 벌새가 잠을 잘 때는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거의 가사상태에 이른다. 그래서 심장이 분당 600회에 이르도록 뛰는데 그것을 사랑의 감정으로 비유한 케이티 페리의 Teenage Dream 앨범의 수록곡 'Hummingbird Heartbeat'도 있다.

수면을 가장한 휴면상태에서 깨어날 때는 몸의 심박과 신진대사가 정상으로 돌아가면서 호흡과정중에 '삐이이이' 하는 소리를 내기도 한다. 링크 사실 그냥 울음소리 자체가 삐이익 거리는 소리다. 링크 목구멍이 가느니까 높은 음역의 소리가 나는 게 당연하지만. 나뭇가지에 앉아서 우는 소리를 들어보면 보통 샛소리라고 생각하기 힘든 가는 소리로 삑삐삑삐삑거리며 지저귄다.

 

워낙 체구가 작아서 행동 반경이 작은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일부 벌새들은 철새로서 장거리 비행을 행한다. 여름에는 북미에서 지내다가 가을이 되면 멕시코 등 중남미 지역으로 이동하는데, 이 거리가 수천 킬로미터에 달한다.

귀여운 외모와 정반대로 성질이 엄청나게 더럽고 폭력적이다. 오죽하면 아즈텍인들은 전사가 죽으면 벌새로 다시 태어난다고 믿었다(!) 아즈텍의 전쟁신 우이칠로포츠틀리의 이름도 '왼편의 벌새'라는 뜻이다. 남미의 모 조류보호소 겸 여행자 숙소에서 벌새들에게 밥을 준 적이 있는데, 벌새들의 지나친 폭력성 때문에 결국 포기했다고 한다.[3] 앨라배마의 모 조류 관찰자는 벌새들이 모이면 미니 헬리콥터가 날아다니는 초미니 전쟁터에 온 것 같다고 평하기도 했다. 

 

벌새가 먹이를 먹는 동영상들을 보면 부리에서 투명한 빨대 같은 것을 내밀었다 넣었다 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정확히는 벌새의 혀다.

 

벌새에게도 천적이 있는데, 다름 아닌 왕부리새나 뱀이나 부채머리수리라나 뭐라나. 덩치가 작아 미국 쪽에서는 사마귀의 단백질 공급원으로 먹히는 굴욕을 당하기도 한다.참고영상 굴욕을 당하기도 한다. 하지만 적어도 몸 길이는 대충 비슷하니 해당 링크의 영상들처럼 살아남는 경우가 많다.[4] 게다가 가끔씩 거미줄에도 걸리고 네펜데스 같은 식충식물에도 잡힌다. 보통 '새도 잡아먹는~' 류 기사가 나오면 대체적으로 이 녀석인 경우가 많다.

 

기타

 

한국에선 꼬리박각시나 줄꼬리박각시를 벌새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한국에는 벌새가 없다. 색상 배열도 닮았지만 자세히 보면 벌새와 달리 더듬이가 있어 구별할 수 있다. 수렴진화의 한 예이기도 하다.

아프리카, 남·동남아시아, 남중국, 오스트레일리아(1종만)에서는 태양새(Sunbird)가 벌새의 위치에 있다. 칼새목인 벌새와 달리 태양새는 참새목이다.

 

손으로 벌새 먹이 주는 영상. 섬네일 화면에서 손에 있는 빨간 액체는 피가 아니라 벌새 먹이용 음료수이다. 미국 알래스카주의 한 산장 광고비디오이다.

 

뽀롱뽀롱 뽀로로의 해리는 벌새가 모티브이다. 뽀로로의 전 스폰서이던 하나로텔레콤의 상징인 벌새를 캐릭터로 만든 것이다.

 

심슨 가족의 아푸는 편의점에서 96시간(...)을 과로한 탓에 나중에는 정신이 나가서 자신을 벌새로 착각했다고 한다.
명일방주의 플린트는 벌새를 모티브로 한다.
유희왕 시리즈의 네오 스페이시언 에어 허밍버드와 지박신 Aslla Piscu 역시 벌새를 모티브로 한다.[5]
반도체 제조회사인 ADATA가 벌새를 마스코트로 삼았다.
대한민국의 조류 컨셉 스트리머인 호무새의 시그니처 캐릭터는 벌새를 모티브로 그려졌다.
가장 작은 자동권총으로 유명한 콜리브리 권총이 이 새의 독일어 이름을 땄다.

 

[1] 가장 작은 벌새는 쿠바에 서식하는 콩벌새(Bee Hummingbird, 학명 Melisuga Helenae)로 몸길이가 꼬리를 제외하면 2.5 cm, 꼬리까지 합쳐도 5~6 cm에 불과하다. 몸무게는 2.8 g 정도.
[2] 하치(ハチ): 벌, 도리(ドリ): 새
[3] 사장의 증언에 따르면 밥을 줘봤더니 먹는 시간 외의 대부분을 다른 벌새들 쫓아내는 데 썼다고...
[4] 사마귀는 방아깨비같이 자신과 몸 길이가 비슷하거나 더 큰 곤충도 잡아먹는 포식자이다.
[5] 다만 지박신은 정확히는 벌새 나스카 지상화를 모티브로 한 것이지 새 자체를 모티브로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Life Square > 동물 Anima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제 늑대 크기  (0) 2021.05.11
군대 팅커벨이란 무엇인가  (0) 2021.05.01
와 삽화 진짜 대충 그렸네 이런 새가 어딨냐  (0) 2021.04.15
사람인가 고양이인가  (0) 2021.04.15
새끼 호랑이  (0) 2021.04.14
브라질의 해충과의 전쟁 이야기  (0) 2021.04.14
억울하게 생긴 새  (0) 2021.04.14
연봉 2억 강아지  (0) 2021.04.13
COMMENT
 

인기 글


최근 글